728x90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<title>Document</title>
</head>
<body>
<script>
// 변수: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공간
// 변수선언방법 비교 (java vs javascript)
// java: 자료명 + 변수이름 = 값;
// javascript : var(변수키워드) + 변수이름 = 값;
// * var: 초기화하는 순간 자료형이 결정된다.
// 자료형
// string, number, boolean, undefined, null
// 그외 타입은 Object(객체)
var num =123;
var str = "hello";
var bool = true;
//*데이터 타입 확인하는 방법
// a. typeof()
// b. console창의 색깔
//1. string = 문자 형태
// 큰따오표, 작은따옴표, 백틱(``- 물결형태 옆에) 전부 사용 가능
console.log(str,typeof(str));
//2.number = 숫자형태
console.log(num);
//3. boolean = 참/거짓
console.log(bool);
//4. null과 undefined의 공통된 의미
// 값이 비어있다
// 차이점 :
// null : 비어있다.
// undefined: 타입이 정의되지 않았다.
// 사용: 개발자들이 빈 값이 들어온건지, 무언가 들어오지도 않은건지 구별할때 활용
//4-1 null
var empty = null;
//4-2 undefined 타입
var data;
</script>
</body>
</html>

출처: 스마트인재개발원
728x90
반응형
'DATA 분석 교육 과정 (2024.02~08) > Javas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JS_형변환 (0) | 2024.04.24 |
|---|---|
| JS_연산자 (0) | 2024.04.24 |
| JS_변수_입출력(실습) (0) | 2024.04.24 |
| JS_변수_var,let (0) | 2024.04.24 |
| JS_출력문, 입력문 (0) | 2024.04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