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스마트인재개발원

(9)
JAVA_배열, for-each, 이차배열 배열 1. 자료구조: - Tree: 가지구조 - Stack : last in first in (프링글스) - Queue : first in first out (빨대와 같은) - List - Array :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자료구조 2. 배열 ( Array ) - int [ ] numbers = new int [3] ; - 타입 / 선언 / 배열 이름 = 생성 키워드 / 타입 [배열의 크기] ; 배열선언 방법 1 int [] arr ; // 변수 선언, 주소가 담긴다. arr = new int [3]; //배열을 선언 System.out.println(arr); // 주소값 출력 arr[1]=20; System.out.println(arr[1]); // 20 출력 int[] ..
JAVA_반복문(while, do-while, for) 1. while [예제 1] while 문을 사용하여 키보드로터 입력 받은 수가 10보다 작을때 계속 정수를 입력받으세요 (10보다 큰 수를 입력하면 "종료되었습니다" 출력) [예제 2] while문을 사용하여 입력받은 수를 누적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( -1을 입력할 경우 프로그램 종료) [예제 3] 숫자를 입력받아 홀수와 짝수가 각각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( -1를 입력한 경우 프로그램 종료) 2. do-while [예제1] [예제2] 3. for [예제1&2] [예제3] [예제4] [예제5] 4 .이중 for [예제1] [예제2] 또는 [예제3] 비교 ( while, do-while, for) 출처:스마트인재개발원
JAVA_조건문(단순, if-else, 다중, switch) 1. 단순 if [예제1] 만약 age가 20보다 크거나 같다면 “성인입니다.”라고 출력 [예제2] 만약 num이 3의 배수이면서 5의 배수라면 “3과 5의 배수입니다“라고 출력 2. if-else [예제1] 만약 grade가 60점 이상이면 “합격입니다.” 그렇지 않다면 “불합격입니다.”를 출력 [예제2] 기본료는 5000원이며 인원수에 따라 지불해야하는 프로그램이다 (단, 20세 미만인 경우 50% 할인이 적용됨) [예제3] 10000원 짜리 선물세트를 구입 금액을 계산하시오 ( 단, 11개 이상 구매 시 전체금액에서 10% 할인 적용) 3.다중 if [예제1] totalScore가 90점 이상이면 “A학점입니다.”, 80점 이상 90점 미만일 경우 “B학점입니다.”, 70점 이상 80점 미만일 경우..
JAVA_연산자(산술, 대입, 비교, 논리, 증감, 삼항) 1.연산자 - 연산 : 정해진 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것 2. 연산자의 종류 1) 이항연산자 (1) 산술연산자 (+ - * / %) [예시 1] int num1 = 10; int num2 = 7; float num3 = 10.0f; // float num4 = 7.0f; System.out.println(num1 / num2); // 답: 1 System.out.println(num3 / num4); // 답: 1.4285715 System.out.println(num1 / num4); // 답: 1.4285715 *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float로 자동(묵시적) 형 변환이 일어남 [예시 2] String a = 10 + 7 + "1" ; String b = 8 + "1"..
JAVA_변수, 상수, 변수명 규칙, 자료형 1. 변수 (variable) - 사전적 의미로 '변화를 줄 수 있는' 또는 '변화할 수 있는 수' - 프로그래밍에서는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메모리 공간 2. 변수 선언 방법 (자료형 변수명 = 값 ;) 1) int a = 3 ; // a라는 공간에 자료형 3을 담기로 한다. [예시] 2) 실행해보기 int input = sc.nextInt ( ) ; // 'sc'를 이용해서 'nextInt'라는 기능을 이용해 'input'이라는 변수에 입력받은 숫자를 저장함 system.out.println(input) ; // 'input'를 출력 3. 상수 (constant) - 사전적 의미로 '불변하는' 또는 '변하지 않는 수' -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공간 - 한번 넣으면 변하지 않는 수를 넣..
SQL_TCL(COMMIT,ROLLBACK ,SAVEPOINT), DCL(GRANT,REVOKE, ROLE) 1. TCL - 트랜잭션은 어떤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를 의미 1) COMMIT : 데이터를 영구 저장 - AUTO COMMIT : 오라클에서 DML (INSERT , UPDATE , DELETE )는 직접 COMMIT 입력해야 함. DDL ( CREATE , ALTER , DROP 등)은 자동으로 COMMIT 적용 됨 2) ROLLBACK : 데이터 전단계 수정 3) SAVEPOINT - 특정 지점까지만 수정 [예시 1] 아래 쿼리를 순서대로 실행했을때 TAB3 테이블에는 총 몇개의 행이 있을까" 답: A,B,D 행 / 총 3개 행 [예시 2] 아래 쿼리를 순서대로 실행했을 때, TAB4 테이블에는 총 몇 개의 행이 있을까? 답: A,B,C,E 행/ 4개 행 2. DCL : 객체에 권한을 부..
SQL_GROUP BY, HAVING, ORDER BY 1.GROUP BY 문법 - 특정 컬럼(표현식)을 기준으로 튜플(행)을 그룹화(=묶어서)하여 각각 단일행으로 표기 - 실제로 출력되는 튜플(행)이 감소되어 입력할 수 있는 컬럼이 제한됨. (HAVING , ORDER BY , SELECT 에서 제한) 대신 집계함수(=다중행 함수)로 처리한 컬럼은 HAVING , ORDER BY , SELECT 에도 입력이 가능 2.집계함수의 종류 (COUNT() , AVG() , SUM() , MAX() , MIN()) 1) COUNT(expr) - 그루핑할 컬럼 기준으로 행의 개수를 출력합니다. - 다른 집계함수와 달리 * 을 expr에 쓸 수 있습니다. - 모든 자료형에 이용가능 합니다. 2) MAX(expr) , MIN(expr) - 그룹 기준으로 입력한 expr ..
SQL_WHERE (비교조건, 논리조건, 부정연산, NULL, IN, BETWEEN, LIKE) 1. WHERE 사용 이유와 원리 - 원하는 행(튜플)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. 2. 비교조건과 논리조건 1) 비교조건 - =.>,
SQL _ SELECT(사칙연산, 연결연산, 내장형함수, 형변환함수, NULL함수) 1. 사칙연산 2. 연결연산 (||) 3. 내장형(built-in) 함수 - 미리 만들어 놓은 함수 - 문자형 함수 : UPPER , SUBSTR , TRIM , REPLACE - 숫자형 함수 : MOD , ROUND - 날짜형 함수 : SYSDATE * 본업시 전부 외울 필요없이 필요할 때만 구글링 1) 문자형 함수 (1) UPPER - 기능 : 입력받은 문자열에서 소문자를 대문자로 바꿔준다 - 입력 값 : 문자형 리터럴 1개 혹은 문자형 컬럼 - 출력 값 : 문자형 리터럴 1개 - 예시 1) SELECT UPPER('abcde123@@') AS UPPER사용 - 예시 2) SELECT CUST_ID , PASSWD , UPPER(PASSWD) AS 패스워드대문자 (2) SUBSTR - 기능 : 입력받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