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QL_DML(INSERT, UPDATE, DELETE), DDL(CREATE, ALTER, DROP, RENAME, TRUNCATE), 시퀀스, 뷰
1. DML 이란 - 데이터 조작어 (Data Manipulation Language) - 테이블에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/수정/삭제한다. 2. INSERT -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를 튜플(행) 단위로 입력 - INSERT INTO 테이블명 ( COLUMN_LIST ) VALUES ( COLUMN_LIST에 입력할 값 리스트) [예시] INSERT INTO TB_CUST ( CUST_ID , CUST_NAME , PASSWD ) VALUES ( 'HELLO' , '홍길동' , '12345' ) ; 3. UPDATE - 테이블에 있는 기존의 데이터를 변경 - UPDATE 테이블명 SET 바꿀컬럼 = 바꿀값 WHERE 바꾸고싶은행조건 ; [예시] UPDATE TB_CUST SET CUST_NAME = '이름..
SQL_GROUP BY, HAVING, ORDER BY
1.GROUP BY 문법 - 특정 컬럼(표현식)을 기준으로 튜플(행)을 그룹화(=묶어서)하여 각각 단일행으로 표기 - 실제로 출력되는 튜플(행)이 감소되어 입력할 수 있는 컬럼이 제한됨. (HAVING , ORDER BY , SELECT 에서 제한) 대신 집계함수(=다중행 함수)로 처리한 컬럼은 HAVING , ORDER BY , SELECT 에도 입력이 가능 2.집계함수의 종류 (COUNT() , AVG() , SUM() , MAX() , MIN()) 1) COUNT(expr) - 그루핑할 컬럼 기준으로 행의 개수를 출력합니다. - 다른 집계함수와 달리 * 을 expr에 쓸 수 있습니다. - 모든 자료형에 이용가능 합니다. 2) MAX(expr) , MIN(expr) - 그룹 기준으로 입력한 expr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