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QL_DML(INSERT, UPDATE, DELETE), DDL(CREATE, ALTER, DROP, RENAME, TRUNCATE), 시퀀스, 뷰
1. DML 이란 - 데이터 조작어 (Data Manipulation Language) - 테이블에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/수정/삭제한다. 2. INSERT -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를 튜플(행) 단위로 입력 - INSERT INTO 테이블명 ( COLUMN_LIST ) VALUES ( COLUMN_LIST에 입력할 값 리스트) [예시] INSERT INTO TB_CUST ( CUST_ID , CUST_NAME , PASSWD ) VALUES ( 'HELLO' , '홍길동' , '12345' ) ; 3. UPDATE - 테이블에 있는 기존의 데이터를 변경 - UPDATE 테이블명 SET 바꿀컬럼 = 바꿀값 WHERE 바꾸고싶은행조건 ; [예시] UPDATE TB_CUST SET CUST_NAME = '이름..
SQL_GROUP BY, HAVING, ORDER BY
1.GROUP BY 문법 - 특정 컬럼(표현식)을 기준으로 튜플(행)을 그룹화(=묶어서)하여 각각 단일행으로 표기 - 실제로 출력되는 튜플(행)이 감소되어 입력할 수 있는 컬럼이 제한됨. (HAVING , ORDER BY , SELECT 에서 제한) 대신 집계함수(=다중행 함수)로 처리한 컬럼은 HAVING , ORDER BY , SELECT 에도 입력이 가능 2.집계함수의 종류 (COUNT() , AVG() , SUM() , MAX() , MIN()) 1) COUNT(expr) - 그루핑할 컬럼 기준으로 행의 개수를 출력합니다. - 다른 집계함수와 달리 * 을 expr에 쓸 수 있습니다. - 모든 자료형에 이용가능 합니다. 2) MAX(expr) , MIN(expr) - 그룹 기준으로 입력한 expr ..
SQL _ SELECT(사칙연산, 연결연산, 내장형함수, 형변환함수, NULL함수)
1. 사칙연산 2. 연결연산 (||) 3. 내장형(built-in) 함수 - 미리 만들어 놓은 함수 - 문자형 함수 : UPPER , SUBSTR , TRIM , REPLACE - 숫자형 함수 : MOD , ROUND - 날짜형 함수 : SYSDATE * 본업시 전부 외울 필요없이 필요할 때만 구글링 1) 문자형 함수 (1) UPPER - 기능 : 입력받은 문자열에서 소문자를 대문자로 바꿔준다 - 입력 값 : 문자형 리터럴 1개 혹은 문자형 컬럼 - 출력 값 : 문자형 리터럴 1개 - 예시 1) SELECT UPPER('abcde123@@') AS UPPER사용 - 예시 2) SELECT CUST_ID , PASSWD , UPPER(PASSWD) AS 패스워드대문자 (2) SUBSTR - 기능 : 입력받..
SQL_데이터 모델링, SELECT(의미, 실행순서, *, DISTINCT, AS, NULL, 자료형, 리터럴)
1, 데이터베이스란? - 현실의 대상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 및 구축을 하는 과정 - 요구사항 접수 >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>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>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> 세팅 완료 2. 개념 데이터 모델링 - 복잡한 현실세계의 대상을 단순화, 추상화, 명확화 하는 작업 - 요구사항을 단순하게 그림으로 표현하는 방법 - 엔터티, 속성, 인스턴스, 관계, ERD * 관계: 엔터티 간의 의미 있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해보고 의미를 관계로 설정해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 * ERD(Entity, Relationship, Diagram) : 엔터티와 엔터티 간의 관계를 발견하고 이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 (1) 엔터티를 그린다. (2) 엔터티를 적절히 배치한다. (3) 관계를 설정한다. (서..